블로그 메인인사이트
인사이트

소정근로시간 뜻, 계산방법 알아보기 (+ 209시간, FAQ)

2024-04-22

소정근로시간은 사용자와 근로자가 사전에 합의하여 정한 근로시간을 의미하는데요.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소정근로시간은 근로자의 임금뿐만 아니라 연장⋅야간⋅휴일 근로에 해당하는 시간과 수당을 계산하는 기준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확한 수준의 임금을 보장하기 위해 소정근로시간의 개념과 계산방법을 알아둘 필요가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소정근로시간의 개념, 일⋅주⋅월 단위의 소정근로시간 계산방법을 알아보고, FAQ를 통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소정근로시간이란?

소정근로시간이란 사용자와 근로자가 합의한 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여 소정근로시간은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등에 명시된 업무 시작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사용자는 소정근로시간을 기준으로 근로자의 기본적인 급여를 정하고, 시간외근로 여부와 추가 수당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이때 사용자는 소정근로시간의 최저, 최대 기준을 준수해야 하는데요. 근로기준법에서는 이를 법정근로시간이라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근로자 1명당 소정근로시간은 1일 8시간, 1주 40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근로기준법 제50조).

2. 소정근로시간 계산방법 (209시간)

▪️ 일 소정근로시간 계산방법

일 소정근로시간근로자가 하루에 근무하기로 정한 시간입니다.

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할 수 없으므로, 근로자의 1일 최대 소정근로시간은 8시간인데요.

따라서 근로자가 하루에 12시간을 근로하기로 정했다면 근로자의 일 소정근로시간은 8시간까지만 인정되며, 남은 2시간은 휴게시간 혹은 연장근로시간으로 계산해야 합니다.

즉, 일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할 때는 주휴시간을 비롯한 추가 유급 시간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 주 소정근로시간 계산방법

근로기준법에 따라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주휴일)을 보장해야 하는데요.

따라서 주 소정근로시간은 근로자가 1주간 근로한 총근로시간에 주휴시간을 포함하여 계산해야 합니다.

주휴시간과 주 소정근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주휴시간 = (1주 총근로시간 ÷ 40시간) X 8시간
  • 주 소정근로시간 = 1주 총근로시간 + 주휴시간

▪️ 월 소정근로시간 계산방법 (209시간)

월 소정근로시간주 소정근로시간에 1개월간 평균 주수를 곱하여 계산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1개월간 평균 주수란 1년을 기준으로 1개월이 몇 개의 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계산한 값입니다.

1개월 평균 주수와 월 소정근로시간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1개월 평균 주수 = 1년 365일 ÷ 12개월 ÷ 7일 = 4.345주
  • 월 소정근로시간 = 주 소정근로시간 X 4.345주(1개월 평균 주수)

그럼 예시와 함께 각각의 소정근로시간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예시 1. 1일 8시간, 1주 40시간 근로하는 근로자 A
dev
구분 계산방법
일 소정근로시간 8시간(1일 총근로시간)
주 소정근로시간 40시간(1주 총근로시간) + 8시간(주휴시간) = 48시간
월 소정근로시간 48시간(주 소정근로시간) X 4.345주(1개월 평균 주수) = 209시간

예시 2. 1일 5시간, 1주 25시간 근로하는 근로자 B
구분 계산방법
일 소정근로시간 5시간(1일 총근로시간)
주 소정근로시간 25시간(1주 총근로시간) + 5시간(주휴시간) = 30시간
월 소정근로시간 30시간(주 소정근로시간) X 4.345주(1개월 평균 주수) = 130시간

3. 자주 묻는 질문(FAQ)

Q. 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할 수 없나요?

A. 네, 소정근로시간은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법정근로시간이란 근로자의 근무시간을 법으로 제한한 것을 의미하는데요. 근로기준법에 따르면 근로자는 1일 8시간, 1주 40시간까지만 근로할 수 있습니다.

반면 소정근로시간은 노사가 합의하여 정하는 근로시간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근로자의 소정근로시간이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Q. 주 40시간 기준 월 소정근로시간은 208.5시간 아닌가요?

A. 네, 정확한 값은 208.5시간이지만 고용노동부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209시간을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주 40시간 기준 월 소정근로시간은 ‘48시간 X 4.345주=208.56’으로 208.5시간이 정확한 값이 맞습니다.

하지만 고용노동부에서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한 209시간을 월 소정근로시간으로 간주하고 있는데요.

이는 사용자가 근로자에게 임금, 금품 등을 지급할 때 적은 금액이라도 누락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따라서 고용노동부는 소정근로시간 계산 시 발생하는 소수점 이하의 숫자는 반올림한 후, 임금 등을 계산할 것을 권장하고 있습니다.

Q. 소정근로시간이 불규칙할 경우, 일 소정근로시간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A. 소정근로시간이 불규칙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일 소정근로시간을 구할 수 있습니다(고용보험법 제91조의2).

단위 내용
주 단위로 정해진 경우 (소정근로시간 + 유급근로시간) ÷ 7일
월 단위로 정해진 경우 (소정근로시간 + 유급근로시간) ÷ 해당 월의 일수
주마다 달라지는 경우 (이직 전 4주 간의 소정근로시간 + 유급근로시간) ÷ 28일

지금까지 근로자의 근로시간과 임금 등의 내용을 좌우하는 소정근로시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글을 참고하시어 소정근로시간의 개념을 이해하시고, 근로자에게 적법한 수준의 보상을 할 수 있도록 소정근로시간을 명확하게 계산하여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간편하게 손쉬운 근태관리 알아보기 >
함께보면 좋은 글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This is some text inside of a div block.
직접 사용해보고 결정하세요.
모든 기능을 무료로 써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