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급휴가나 휴직을 신청한 직원들이 있을 때, 인사 담당자는 연차 관리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특히 무급휴가・휴직 중에도 연차가 발생하는지, 발생한다면 어떻게 계산하고 처리해야 하는지 궁금할 수 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는 무급휴가・휴직 종류부터 해당 기간 동안의 연차 계산 및 미사용 연차 처리 방법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무급휴가・휴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 무급휴가여도 노사 간 협의에 따라 급여가 지급될 수 있으니, 구체적인 내용은 취업규칙 등 사내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육아휴직은 고용보험에서 육아휴직급여가 지급되므로 실질적으로는 유급처럼 보이지만, 사용자는 임금 지급 의무가 없습니다.
법적으로 인정되는 사유로 무급휴가・휴직를 사용한 경우, 이를 출근으로 인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적인 사유로 무급휴가・휴직를 사용했다면, 이를 출근으로 볼지 결근으로 볼지는 노사 간 협의에 따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이 같은 휴가・휴직은 근로 의무가 일시적으로 정지된 기간으로 간주하기 때문입니다(대법원 2007다73277).
따라서 무급휴가・휴직에는 연차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으며, 향후 연차 지급 개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입사 1년 미만인 근로자는 매달 개근 시 1개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무급휴가나 무급휴직을 사용한 달에는 연차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입사 1년 이상인 근로자는 연간 출근율이 80% 이상일 때 연차가 발생합니다.
연차 산정에 사용되는 출근율은 연간 소정근로일수에서 휴직이나 무급휴가 기간을 제외한 실제 근로일수를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아래 근로자 A를 예시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 입사 1년 미만일 경우
입사 1년 미만의 근로자 A는 입사 후 발생할 수 있는 총 11개의 연차 중 9일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월~금요일까지 휴식하면 유급주휴일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주말까지 무급으로 처리됩니다.
▪︎ 입사 1년 이상일 경우
근로자 A의 2023년 출근율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근로자 A는 입사 1년이 되는 2024년 2월 6일에 15일의 연차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많은 회사가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연차를 산정하므로, 2024년 1월 1일에 발생하는 연차는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즉, 2024년 1월 1일 기준으로 근로자 A에게 약 10일의 연차가 발생하고, 2024년 2월 6일에는 5일이 추가되어 총 15일의 연차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후 2025년 1월 1일부터는 15일의 연차가 한번에 부여됩니다.
💁🏻 샤플 연차 계산기로 입사일·회계연도 기준 연차 일수를 간편하게 계산해 보세요!
▸ 입사일→회계연도 전환 시, 연차 계산법 알아보기 >>
사용자는 근로자의 무급휴가・휴직에 의해 발생한 미사용 연차에 대해 수당을 지급해야 하는지 궁금할 수 있는데요.
휴가 이월 또는 보상에 관한 사항은 취업규칙 등 사내 규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또한 근로자가 휴가・휴직 중이어서 연차를 소진할 수 없는 상황이라면 연차촉진을 적용할 수 없습니다(근로조건지도과-1058).
따라서 사용자는 근로계약서, 취업규칙 등을 참고하여 휴직 사유와 사용촉진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휴가 처리 방안을 논의해야 합니다.
지금까지 인사 담당자가 무급휴가・휴직자의 연차에 대해 궁금해하는 사항들을 살펴보았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휴가・휴직자의 연차 관리에 필요한 세부 사항을 정확히 파악하고, 실무에 바로 적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샤플은 휴가・휴직자 관리에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하나의 툴로 번거로운 직원 관리를 간편하게 하고 싶다면, 아래 콘텐츠를 확인해 보세요!
▸ [휴가] 근로기준법에 맞춰 휴가・휴직 일정을 간편하게 관리하기 >
▸ [휴가] 번거로운 연차촉진을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처리하기 >
▸ [휴가] 모바일로 연차 신청부터 승인까지 한 번에 해결하기 >
▸ [게시판] 팀별 자료와 정보를 손쉽게 공유, 보관하기 >
▸ [채팅] 직원 연락처 없이도 업무 소통을 원활하게 하기 >